태국 화장품 시장, 위기에서 기회로
- 바트화 강세로 수입산 화장품 경쟁치열, 현지업체는 고전 -
보고일자 : 2007.8.23.
이성훈 방콕무역관
kotra2@kotrathai.com
□ 일반 동향
○ 태국 로컬 화장품 업체, 수입산 제품으로 골머리
- 유명 브랜드 제품과 함께 시장점유 확대목적의 신규 수입제품도 로컬제품을 위협
- 2007년 태국 화장품 시장규모는 총 8억8357만 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
- 로컬 화장품 업체는 내수위축에 따른 수요 감소와 함께 달러약세, 바트화 강세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아진 수입단가로 인해 미국·유럽·일본 등 아시아로부터의 수입제품과 경쟁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 중
○ 2007년 태국 화장품류 수입액은 전년대비 최소 10~15% 증가한 2억5000만 달러에 이를 전망
- 태국내 수입화장품의 비중이 최근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
- 2007년 1~5월중 태국 화장품류 수입액도 전년대비 17.2% 증가한 1억165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05년 이후 최고 증가율
태국 화장품류 수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
2001 |
2004 |
2006 |
금액 |
107.8 |
217.1 |
234.6 |
자료원 : 태국 관세청
□ 화장품 수요 동향
○ Anti-aging, Whitening, Sun-lotion 및 천연원재료를 사용한 제품의 수요 증가 추세
○ 태국내 주요수요층은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으며, 가격에 매우 민감
○ 한편, 2007년 1~4월 중 가장 큰 수입증가세를 보인 품목은 아래와 같음.
제품군 |
전체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
증가율 |
미용, 메이크업용, 피부관리용 화장품 |
60.8% |
21.8% |
향수 |
13.6% |
15.5% |
모발용 화장품 |
9.8% |
13.3% |
자료원 : 태국 관세청
□ 경쟁동향
○ 전체 시장규모의 약 10%만이 태국 자체브랜드인 것으로 추정될 정도로 외국계 기업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실정
- 관련업계에 따르면, 태국의 화장품시장은 고급품·중저가 제품 모두 업체들간의 경쟁이 매우 치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성장과 함께 여성들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태국시장에는 에스떼 라우더, 랑콤, 시세이도 등 고급제품들과 암웨이, J&J, Nivea 등 중저가 외국제품들이 시장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현재 태국에서 팔리고 있는 브랜드의 약 90%는 외국계 제품들로 추정되나 20~40%에 달하는 높은 관세로 인해 직접 수입을 통한 판매는 약 24%에 그치며, OEM을 통한 생산 및 판매비율이 약 7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됨.
- 태국 현지브랜드는 5~10%에 그치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추정
○ 부문별 경쟁 동향
- 메이크업 제품은 외국계 브랜드가 전체시장을 이끌고 있는 가운데 로컬제품은 Pias ZA, Oriental Princess 등이 저가제품을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음.
- Skin Care제품은 Face제품이 40%, Body제품이 60%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크림 타입 제품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로션타입이 폭넓게 유통되고 있음.
- 미백 제품의 경우 과거 수 년 동안 태국여성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왔는데, 니베아·폰즈·Olay사가 관련시장을 이끌고 있음. 또한, 피지제거 로션시장은 전체 화장품시장의 약 5%로 대체로 적은 편이나, 피부재생용 화장품(Skin Repair Lotion)시장은 전체 화장품시장의 20%내외에 달하고 있음.
○ 태국정부에서는 여성용 화장품시장이 외국계 기업에 의해 주도됨에 따라 이를 억제하고 태국전통의 허브 화장품 개발에 적극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현재 태국에는 약 1만 종의허브 화장품 원료용 식물들이 재배되고 있는데, 매년 30%가까이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외국계 기업으로는 일본의 '시세이도'가 허브제품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태국내에서 판매되는 화장품은 주로 전통적인 백화점 판매와 방문판매, 직영점을 통한 판매 등으로 구분되는데, 방문판매 비중이 전체판매량의 약 60%를 차지하며 백화점 등을 통한 전통적인 판매비중은 약 30%내외에 그치고 있음. 방문판매의 경우 대부분 저가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 시사점
○ 현재, 태국내에는 우리나라 Face shop·미샤 등이 진출해 있으며, 개별적으로는 품목별·기능별 제품 태국 수출도 지속되고 있음.
○ 바트화 강세로 태국의 수입수요 심리가 크게 증가해 있는 상태로 중저가 전략으로 백화점, 대형할인점의 유통채널을 이용한 시장 확대가 주요할 것으로 전망
자료원 : 태국관세청, www.thannews.th.co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