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통합보관자료

겨울철 편도선염, 원인은 무엇이고 치료는 어떻게?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편도란 목(인두)주변에 있는 임파조직으로 구개편도·인두편도·설편도 등이 있으나 육안으로 보이는 것은 구개편도 즉 목젖의 양옆에 있는 것입니다.

우리의 몸에는 군인을 양성하는 논산훈련소와 같은 훈련소가 두 개 있는데 복부내장기관을 담당하는 비장과 기관지인후 및 두경부에 파병을 담당하는 편도가 그것입니다. 편도란 목(인두) 주변에 있는 임파조직으로 구개편도, 인두편도, 설편도를 총칭하며 주로 하는 일은 코와 구강을 통해 들어오는 바이러스 등을 걸러주고 감염에 맞서 싸울 수 있는 군인 즉 항체를 만드는 일을 합니다.

대체로 편도선염은 그 중 목젖의 양옆에 있는 구개편도에 발생한 염증을 일반적으로 말하고 이때 대부분은 편도 뒷쪽에 있는 목부위의 점막(인후부)에도 염증이 같이 생깁니다.

편도선염의 원인

급성 편도선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이나 세균의 2차 감염 또는 세균의 직접 감염이 편도에 발생하여 생기고, 기후변동·과로·과음·과식·비강 및 부비동 수술 후 등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습니다.

주로 환절기나 겨울철의 아동들, 시험준비에 지친 중고생과 수험생, 사회생활에 시달리는 청년층에게 흔히 발생하며 인두통과 연하통, 전신권태 및 고열과 함께 나타나기 쉽습니다. 그 외에 두통·이통·사지통·인두 건조감을 호소하고 심하면 연하곤란 및 언어장애·구강악취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만성 편도선염은 보통은 증상이 없거나 경도의 인두통·이물감·기침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급성화하여 심한 증상을 나타내거나 편도비대가 심해져 연하곤란, 코 및 구강호흡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여러 전신감염의 근원지가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편도선염증이 심해지면 편도 주위나 인후벽에 농양이 생기기도 하며 급성 경부임파선염, 급성 후두기관지염, 급성 중이염, 급성 유양돌기염, 급성 부비동염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신체 내의 다른 곳으로 파급되어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 및 급성 신장염, 급성 화농성 관절염 등 심각한 전신질환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편도선염의 치료

한방에서는 편도선염을 치료할 때 침과 한약을 이용합니다. 침구치료는 급성 편도선일 때 그 효과가 좋으며 만성으로 올 때도 효과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3∼7회정도 침으로 치료하는데 치료는 격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급성일 깨는 매일 치료합니다.

치료효과는 즉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구개편도의 크기가 3∼7회정도 침을 맞게 되면 보통 30∼50%정도 그 크기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게 됨으로써 호흡이 편하고 코고는 것도 상당히 호전되며, 효과가 좋은 경우는 아예 코고는 것이 없어지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침은 만 4세 이상이면 가능한데 편도에 직접 침을 놓는 경우는 아직 극소수입니다. 경추를 조정해주는 추나요법을 시술해두면 코로 호흡하기가 편해지고 코를 고는 것이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귀가 높은산에 올라 갔을 때 멍멍한 것이 경추교정으로 즉시 없어지게 됩니다.

편도선은 우리에게 때로는 불편함을 주지만 우리의 신체의 비정상을 알린 적신호라고 보면 타당할 것입니다. 편도선이 자주 붓는다고 그것을 제거하는 것은 손가락이 자주 다친다고 잘라 버린 것과 별로 다를 것이 없습니다.

인체의 기관을 될 수 있는 한 그대로 보존하면서 치료인 것입니다. 자연의 섭리에 가장 부합되는 의학의 범위안에서 치료를 받는 현명함이 필요하겠습니다.

중산한의원 서인교 원장(www.jungsanclinic.com)

[쇼핑정보/쇼핑몰] - 쇼핑몰정보!]한방건강 제품 쇼핑몰 운산몰
반응형